이번에는 ViT 논문 리뷰에 이어서 pytorch로 구현한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리뷰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vstylestdy.tistory.com/51

 

[논문 리뷰] ViT, An Image is Worth 16x16 Words

Vision transformer 논문에 대한 간단한 리뷰를 정리해보겠습니다. Paper : https://arxiv.org/abs/2010.11929 An Image is Worth 16x16 Words: Transformers for Image Recognition at Scale While the Transform..

vstylestdy.tistory.com

 

이번에 구현한 내용은 논문과 동일하게 vision transformer를 구현하고 학습시킨 것이 아니라,

CIFAR10 dataset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처리 과정만을 구현한 코드입니다.

 

성능에 대한 실험 등은 포함되지 않고, ViT의 처리 과정을 구현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제대로 학습이 이뤄지는지에 대해서만 검사할 것입니다.

 

전체 코드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고, Embedding, Transformer Encoder, MLP 최종적을 ViT module의 구현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https://github.com/LimYooyeol/AI-Paper-Code/tree/main/ViT

 

- Embedding

from einops import rearrange

class Embedding(nn.Module) :
  def __init__(self, input_size = 32, input_channel = 3, hidden_size = 8*8*3, patch_size = 4) :
    super().__init__()

    self.patch_size = patch_size
    self.hidden_size = hidden_size

    self.projection = nn.Linear((patch_size**2)*input_channel, hidden_size, bias = False)

    self.cls_token = nn.Parameter(torch.zeros(hidden_size), requires_grad= True)

    num_patches = int((input_size / patch_size) ** 2 + 1)

    self.positional = nn.Parameter(torch.zeros((num_patches, hidden_size), requires_grad= True))


  def forward(self, x) :
    x = rearrange(x, 'b c (h p1) (w p2) -> b (h w) (c p1 p2)', p1 = self.patch_size, p2 = self.patch_size)
    x = self.projection(x)

    batch_size = x.shape[0]

    x = torch.concat((self.cls_token.expand(batch_size, 1, self.hidden_size), x), axis = 1)

    x = x + self.positional

    return x

먼저 CIFAR 10 dataset은 3x32x32 크기로 작기 때문에, patch size와 hidden size 또한 그에 맞춰 작게 설정했습니다. 

 

이미지를 patch로 나누는 과정이 복잡할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einops'를 사용하면 한 줄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Einops 동작

Input으로 주어진 images의 shape가 'batch size x channel x H x W'라고 할 때 H와 W를 각각 h, w개의 patch들로 이뤄졌다고 보고, 각각의 batch 별로 h*w 개의 c*p1*p2 크기의 vector로 만들라는 내용의 코드입니다.

 

Einops 자체가 직관적이라 arange로 표현된 예시와 함께 살펴보시면 이해될 것이고,

자세한 einops의 동작에 대해서는 공식문서나 튜토리얼이 있으니 찾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원하던대로 image의 각 영역(patches)을 vector로 만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s token이나 positional embedding은 nn.Parameter를 통해 구현했고, 

cls token의 경우 expand와 concat을 통해, positional embedding의 경우 broadcasting을 통해 더해줍니다. 

 

- Transformer Encoder

● MSA (un-parallelized)

class SelfAttention(nn.Module) :
  def __init__(self, input_dim, D_h) :
    super().__init__()

    self.D_h = D_h

    self.q = nn.Linear(input_dim, D_h, bias = False)
    self.k = nn.Linear(input_dim, D_h, bias = False)
    self.v = nn.Linear(input_dim, D_h, bias = False)

    self.softmax = nn.Softmax(dim = 1)

  def forward(self, x):
    q = self.q(x)
    k = self.k(x)
    k_tranpose = torch.transpose(k, 1, 2)
    v = self.v(x)

    A = self.softmax(torch.matmul(q, k_tranpose) / (self.D_h ** (1/2)))

    return torch.matmul(A, v)

class MSA(nn.Module) :
  def __init__(self, hidden_dim = 192, num_heads = 6) :
    super().__init__()

    self.num_heads = num_heads

    heads = []
    for i in range(0, num_heads) :
      heads.append(SelfAttention(input_dim = hidden_dim, D_h = int(hidden_dim / num_heads)))

    self.heads = nn.ModuleList(heads)    

  def forward(self, x):
    score = []

    for i in range(0, self.num_heads) : 
      score.append(self.heads[i](x))
    
    return torch.concat(score, axis = 2)

먼저 Multi-head attention layer를 naive하게 구현한 코드입니다.

Self-attention head를 먼저 구현하고, MSA에서는 여러 개의 heads를 ModuleList로 저장하여, 하나씩 계산한 결과를 이어 붙입니다.

따라서 head 별 연산이 sequential하게 이뤄져서 비효율적입니다.

 

● MSA(Parallelized)

병렬화 된 버전의 구현은 https://github.com/FrancescoSaverioZuppichini/ViT/blob/main/transfomer.md 의 코드를 이용했습니다. 

여기에서도 einop의 rearrange와 torch.einsum을 이용하는데, 먼저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https://github.com/FrancescoSaverioZuppichini/ViT/blob/main/transfomer.md

class MSA(nn.Module) :
  def __init__(self, hidden_dim = 8*8*3, num_heads = 6) :
    super().__init__()

    self.num_heads = num_heads
    self.D_h = (hidden_dim / num_heads) ** (1/2) 

    self.queries = nn.Linear(hidden_dim, hidden_dim)
    self.keys = nn.Linear(hidden_dim, hidden_dim)
    self.values = nn.Linear(hidden_dim, hidden_dim)

    self.softmax = nn.Softmax(dim = 1)


  def forward(self, x) :
    q = rearrange(self.queries(x), 'b n (h d) -> b h n d', h = self.num_heads)
    k = rearrange(self.queries(x), 'b n (h d) -> b h n d', h = self.num_heads)
    v = rearrange(self.queries(x), 'b n (h d) -> b h n d', h = self.num_heads)

    A = torch.einsum('bhqd, bhkd -> bhqk', q, k)
    A = self.softmax(A / self.D_h)

    Ax = torch.einsum('bhan, bhnd -> bhad' ,A, v) # b : batch size, h : num_heads, n : num_patches, a : num_patches, d : D_h
    return rearrange(Ax, 'b h n d -> b n (h d)')

먼저 query, key, value weights를 nn.Linear layer로 선언하는데, 이번엔 모든 heads의 weights를 하나의 layer로 처리하기 때문에 output의 크기로 D(hidden dim)가 유지됩니다. 

즉, 각 헤드별로 Nx$ D_h$, (N x D) x (D x $  D_h$)의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한번에 N x D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forward weight를 거친 결과는 다음과 같게 됩니다.(query 기준, h : # of heads)

따라서 먼저 einops의 rearrange를 통해 shape를 변형해줍니다.
'b n (h d) -> b h n d'로 변환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각 head별 output으로 분리해줍니다.
(batch size = 2, num patches = 4, hidden_dim = 2, num_heads = 3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rearrange

 

이제 einsum을 이용해서 분리된 shape에 맞게 $ QK^T$를 계산해줍니다.
 
 
('bhqd, bhkd -> bhqk', q, k)를 수행하게 되면 위와 같이 batch나 head구조는 유지되면서 각 head별로 $QK^T$가 계산됩니다. 
 
사실 einsum을 이번에 처음 접해봐서 정확한 동작은 모르겠지만, ('bhqd, bhkd -> bhqk', q, k)를 수행하게 되면 위와 같이 shape에 맞춰서 k의 값들이 자동으로 transpose된 후 곱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Transpose가 이뤄진 후 곱해지는 것은 확실하지 않지만 우선 결과는 그렇게 생각했을 때와 동일합니다.)
 
그 결과 Batch x # heads x N x N shape의 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여기에서 다시 einsum을 이용해서 각 batch, head 별로 $ Av$를 계산해줍니다.(A = softmax($ \frac{QK^T}{\sqrt{D_h}}$))
 
마찬가지로 batch나 head 별 구조는 유지하면서 NxN 크기의 attention weight와 Nx$D_h$ 크기의 value matrix를 곱해주면 되므로 'bhan, bhnd -> bhad'와 같이 변경되도록 작성해줍니다.
(attention weight를 bhnn이 아니라 bhan으로 표현한 이유는 nn과 같이 하나의 문자로 두개의 차원을 표현하면 안되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Batch x # heads x N x $D_h$ 크기의 결과가 나오므로, 마지막으로 다시 rearrange를 사용해서 
Batch x N x D(= # heads * $D_h$)의 shape으로 변경시켜줍니다.
rearrange(Ax, 'b h n d -> b n (h d)')와 같이 변경시켜주면 됩니다.
※ 수정) 마지막 결과를 D 차원으로 projection하는 과정이 누락되어있습니다.
 

● MLP

 

class MLP(nn.Module):
  def __init__(self, input_dim = 8*8*3, hidden_dim = 8*8*3*4, output_dim = 8*8*3):
    super().__init__()

    self.feedforward = nn.Sequential(
        nn.Linear(input_dim, hidden_dim),
        nn.GELU(),
        nn.Linear(hidden_dim, output_dim),
        nn.GELU()
    )

  def forward(self, x) :
    return self.feedforward(x)

MLP는 2 layer net이라고 보면 됩니다. Input과 output의 크기는 같고, 중간에 숨겨진 hidden dim은 임의로 input의 4배 정도로 설정해주었습니다.

(여기에서만 hidden dim은 hidden layer의 차원을 의미하고 그 외에는 D, encoder 전체에서 흐르는 vector의 dimension을 의미합니다.)

 

● TransformerEncoderBlock, TransformerEncoder

class TransformerEncoderBlock(nn.Module) :
  def __init__(self, hidden_dim = 8*8*3, num_heads = 6, mlp_size = 8*8*3*4):
    super().__init__()

    self.LN = nn.LayerNorm(normalized_shape= hidden_dim)
    self.MSA = MSA(hidden_dim = hidden_dim, num_heads = num_heads)
    self.MLP = MLP(input_dim = hidden_dim, hidden_dim = mlp_size, output_dim = hidden_dim)

  def forward(self, x) :
    x_prev = x
    x = self.LN(x)
    x = self.MSA(x)

    x = x + x_prev
    x_prev = x

    x = self.LN(x)
    x = self.MLP(x)

    return x + x_prev

LN -> MSA -> LN -> MLP가 이어지는 block 입니다. 중간중간 residual connection도 추가해줍니다.

 

class TransformerEncoder(nn.Module):
  def __init__(self, hidden_dim = 8*8*3, num_layers = 8) :
    super().__init__()

    self.num_layers = num_layers
    self.hidden_dim = hidden_dim

    layers = []

    for i in range(0, num_layers) :
      layers.append(TransformerEncoderBlock())

    self.blocks = nn.ModuleList(layers)

    self.LN = nn.LayerNorm(normalized_shape= hidden_dim)

  def forward(self, x):
    for i in range(0, self.num_layers) :
      x = self.blocks[i](x)

    return self.LN(x[:, 0, :])

Encoder는 앞서 구현한 transformer encoder block이 L개 연속되도록 구현해줍니다.

여기에서도 ModuleList를 이용하여 구현해주었습니다.

 

Encoder의 output은 classification token에 대한 마지막 block의 출력입니다.

 

- MLP Head

class MLPHead(nn.Module) :
  def __init__(self, input_dim = 8*8*3, hidden_dim = 8*8*3*4, num_classes = 10) :
    super().__init__()

    self.feedforward = nn.Sequential(
        nn.Linear(input_dim, hidden_dim),
        nn.ReLU(),
        nn.Linear(hidden_dim, num_classes)
    )

  def forward(self, x) :
    return self.feedforward(x)

Classification을 위한 MLP head 에서는 encoder의 output을 input으로 받아 classifciation을 수행하면 됩니다.

일반적인 2 layer net입니다.

 

- ViT

최종 ViT는 다음과 같이 Embedding - Transformer Encoder - MLP Head가 이어지는 구조입니다.

class ViT(nn.Module) :
  def __init__(self, input_size = 32, patch_size = 4, hidden_size = 8*8*3, num_layers = 8) :
    super().__init__()

    self.vit = nn.Sequential(
        Embedding(input_size = input_size, input_channel = 3, hidden_size = hidden_size, patch_size = patch_size),
        TransformerEncoder(hidden_dim = hidden_size, num_layers = num_layers),
        MLPHead(input_dim = hidden_size, hidden_dim = hidden_size*4, num_classes= 10)
    )

  def forward(self, x):
    return self.vit(x)

 

 

- Training

Optimizer는 Adam을 사용했고, lr = 1e-3, (B1, B2) = (0.9, 0.99)를 사용했습니다.

(좌) training loss, (우) test set accuracy

학습이 잘 이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 수렴하지 않았지만, 처음에 언급했듯이 연산을 구현해보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training은 20 epochs에서 더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Computer Vision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리뷰] ViT, An Image is Worth 16x16 Words  (0) 2022.02.05
[논문 리뷰/구현] ResNet  (0) 2022.01.28

Vision transformer 논문에 대한 간단한 리뷰를 정리해보겠습니다.

 

Paper : 

https://arxiv.org/abs/2010.11929

 

An Image is Worth 16x16 Words: Transformers for Image Recognition at Scale

While the Transformer architecture has become the de-facto standard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its applications to computer vision remain limited. In vision, attention is either applied in conjunction with convolutional networks, or used to rep

arxiv.org

 

- Background

Attention mechanism과 transformer model은 자연어 처리에서 이미 주류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NLP 분야에서의 transformer의 활약에 영감을 받아 vision 영역에 transformer를 적용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현재는 vision 영역에서도 transformer 기반 모델들이 상당히 많이 등장했고, 많은 SOTA 모델이 trasnformer 기반으로 알고 있습니다.

 

최대한 NLP 에서 사용되는 transformer model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는데,

'An Image is Worth 16x16 words'라는 논문의 제목에서도 볼 수 있듯이 기존 NLP 분야의 transformer에서 문장의 각 단어를 token으로 다룬 것처럼 이미지의 각 영역을 token으로 다루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덕분에 NLP의 transformer 구조를 거의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도 transformer를 적용하려는 연구들이 있었지만, pixel 단위로 attention을 계산하는 등의 방식은 비효율적이었고 본 논문의 방식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또한 NLP 분야에서 large dataset에 training한 후 smaller task에 fine-tuning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 것처럼, 

ViT도 large dataset에 pre-train을 수행했을 때 비로서 좋은 성능을 보이고 SOTA를 달성하게 되는 결과를 보입니다. 

 

이에 대해 CNN과 달리 ViT에는 inductive bias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서 inductive bias란 간단히 '이미지 처리에 특화된 가정'이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직관적으로 이해하면 CNN은 이미지 처리를 위해 개발된 구조이지만 transformer는 그렇지 않다고도 이해할 수 있겠고, 

locality나 translation equivariance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 수식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에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https://seoilgun.medium.com/cnn%EC%9D%98-stationarity%EC%99%80-locality-610166700979

 

CNN과 이미지가 찰떡궁합인 이유

딥러닝이 뜨고 지금까지 가장 활약한 모델 중 하나는 CNN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무런 의심없이 이미지 데이터를 다룰때는 CNN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도데체 왜 CNN은 이미지 데이터를 잘 처리

seoilgun.medium.com

결론적으로 transformer는 inductive bias가 부족하여 적은 수의 데이터로는 일반화가 잘 이뤄지지 않지만, 

충분히 큰 데이터셋에 pre-train 시켰을 때 CNN 기반의 모델들보다 좋은 결과를 보이게 됩니다. 

 

- Method

본격적으로 Vision Transformer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자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 [Paper Review] Swin Transformer: Hierarchical Vision Transformer using Shifted Windows,             (https://www.youtube.com/watch?v=2lZvuU_IIMA),

   - [DMQA Open Seminar] Transformer in Computer Vision,

(https://www.youtube.com/watch?v=bgsYOGhpxDc

 

위 두 영상의 설명을 많이 참고했습니다.

 

ViT 구조

ViT의 구조는 위와 같고, 크게 Embedding, Transformer Encoder, MLP head 3가지 부분으로 나눠서 살펴보겠습니다. 

 

1. Embedding

Input image를 token화시키고 transformer encoder의 input으로 만들어주는 과정입니다. 

N x N x C 크기의 image가 input으로 들어오면 각각의 크기가 h x w x c 크기인 patch들로 그림과 같이 나눠주고, 다시 각각의 patch들을 크기가 h*w*c인 vector로 만들어줍니다. 

 

각각의 vectors들을 D 차원으로 projection 시켜준 후, classfication token을 추가하고 positional embediing을 더해주면 그 결과가 transformer encoder의 input이 됩니다. 

 

Classification token은 classification을 위해 추가된 token으로, 해당 token에 대한 transformer encoder의 output을 classification에 사용하게 됩니다.

 

또한 positional embedding은 이미지에서의 위치 정보를 다시 추가하기 위해 더해주는 값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때 classification token과 positional embedding 모두 trainable한 parameters입니다. 

 

2. Transformer Encoder

Transformer Encoder는 위와 같은 blocks가 L개 반복되는 구조입니다. 

LN - MSA - LN - MLP가 반복되고, residual connection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 Layer Norm

Norm은 Layer Normalization으로 batch 단위로 normalizatoin을 수행하는 BN과 달리, 각 데이터 별로 normalization을 수행합니다. 

 

    ● Multi-Head Attention

다음으로 Multi-Head attention의 연산 과정입니다. 앞서 생성한 N개의 D차원 vectors이 LN을 거친 결과가 input으로 전달되면 D x $D_h$ 크기의 query, key, value weight와 각각 곱해줍니다.

 

그렇게 생성된 N x $D_h$ 크기의 matrix가 각각 query, key, weight이고,

$A = QK^T$, N x N matrix에서 $ A_{ij}$가 i번째 token이 j번째 token에 얼마나 attention을 갖는지를 의미합니다. 

 

최종적으로 $ QK^T$를 $ \sqrt{D_h}$로 나눠준 값에 softmax를 취하고(각 row별로), value matirx와 곱해준 값이 head의 output이 됩니다.

 

따라서 각 head별 출력은 Nx$D_h$가 되고, 이때 $ D_h$는 보통 D / k(=number of heads)로 설정되어 k개의 heads의 output을 concat한 결과로 각 MHA의 출력은 NxD크기가 유지됩니다.

※ 수정) k*$ D_h$를 D 차원으로 projection한 결과가 최종 output입니다.

 

 

   ● MLP

MLP는 hidden layer가 하나인 two layer network이고, activation function으로 GELU nonlinearity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LN - MHA - LN - MLP 구조가 L번 반복되고, 최종적인 출력은 0번째, classification token에 대한 output이 됩니다. (N x D matrix 중 첫번째 행)

 

   ● MLP Head

최종 classification을 수행하는 MLP로, cls token에 대한 transformer encoder의 output을 input으로 받아 classification을 수행합니다.

 

Hidden layer가 1개인 2 layer network입니다. 

 

- Results

Pre-training dataset의 수에 대한 영향 등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들이 있지만, 해당 실험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최종 성능만 살펴보겠습니다. ResNet이나 EfficientNet 등의 SOTA models과 비교해도 더 좋은 성능을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transformer나 attention mechanism을 ViT를 통해서 처음 접해봤기 때문에, ViT의 처리과정은 이해가 가더라도 왜 좋은 성능을 보이는지 이해가 잘 가지 않았는데, 동작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겠습니다. 

● Principal Components of Embedding filters

먼저 embedding filters에 대한 해석입니다.

위 이미지는 embedding filters(projection matrix)에 PCA를 적용한 결과로, 마치 CNN에서 초반 layers의 filters와 유사한 것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Positional Embedding

다음으로 position embedding의 유사도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Position embedding이 학습된 결과 row와 column이 같고 가까울 수록 높은 유사도를 보입니다.

즉, transformer가 이미지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Attention

먼저 좌측의 그림은 attention map을 시각화한 결과입니다. 

Attention map은 모든 layers의 attention을 종합한 것이라고 보면 되고, 결과적으로 model이 classification에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영역에 집중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측의 그림은 mean attention distance를 나타낸 그림으로 CNN에서 receptive field가 점차 global한 영역으로 확대되듯이, ViT에서도 attention이 global한 영역으로 점점 확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mputer Vision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구현] ViT, An Image is Worth 16x16 Words  (0) 2022.02.05
[논문 리뷰/구현] ResNet  (0) 2022.01.28

 

 

Pytorch로 ResNet을 구현한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원 논문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고, 

https://arxiv.org/abs/1512.03385

 

Deep Residual Learning for Image Recognition

Deeper neural networks are more difficult to train. We present a residual learning framework to ease the training of networks that are substantially deeper than those used previously. We explicitly reformulate the layers as learning residual functions with

arxiv.org

(Review에서 사용된 이미지는 원 논문에서 추출한 이미지입니다.)

 

구현 코드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LimYooyeol/AI-Paper-Code/tree/main/ResNet

 

GitHub - LimYooyeol/AI-Paper-Code

Contribute to LimYooyeol/AI-Paper-Cod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Review>

- Background

딥러닝 모델에서 층을 깊게 쌓으면 gradient vanishing/explosion과 같은 문제로 인해 학습이 잘 이뤄지지 않았었지만,   Batch Normalization 등의 새로운 기법이 등장하면서 gradien vaninshing/explosion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고, 층을 깊게 쌓더라도 학습이 이뤄지게 되었습니다.

 

Degradation

그러나 층을 깊게 쌓을수록 오히려 성능이 안좋아지는 'degradation'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는데, 

단순히 parameters의 수가 많아져서 test 성능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training data에 대해서도 더 깊은 모델이 더 큰 error를 보이는 문제였습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egradat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esidual Learning'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합니다.

 

- Residual Learning

Residual learning은 다음과 같은 아이디어로 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 Shallower 구조를 갖는 모델'과 '(2) 해당 모델에 몇몇 layers를 더 추가한 모델'이 있을 때,

(2)번 모델이 (1)번 모델보다 최소한 같거나 더 좋은 성능을 보여야한다.

(추가된 layers가 identity mapping을 수행하면 되므로)

 

그러나 앞서 background에서 살펴봤듯이, 실제 학습은 그렇게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위 그림에서 H(x)가 해당 layer를 거친 후의 이상적인 출력이라고 가정했을 때,

현재의 모델은 x -> H(x) 로의 mapping을 찾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H(x) = F(x) + x 라고 할 때(F(x) : residual), 모델이 residual(F(x))을 학습하게 하는 것이 어떨까?'

 

위와 같은 방법에서 만약 identity mapping이 H(x)라고 가정하면,

model은 모든 weight를 0으로 학습하면 되므로 x -> F(x) 로의 mapping은 x -> H(x) 로의 mapping보다 상대적으로 간단할 것입니다.

(항상 identity mapping이 ideal하다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예시이긴 하지만, 실제로도 layer의 뒤로 갈수록 F(x)의 출력은 작아지는 양상을 보인다고 합니다.)

 

Residual Learning

그렇게 등장한 것이 residual learning입니다. 

 

위 그림에서 두 개의 weight layer를 하나의 block으로 취급하면, 해당 block에서는 residual, F(x)를 학습하게 됩니다. 

 

- Results

다양한 실험을 보여주지만 ImageNet data에 대해 총 4개의 모델을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 plain 18 layers vs plain 34 layers

      Residual learning을 사용하지 않으면, 층이 깊어질수록 성능이 떨어지는 degradation 문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ResNet 18 layers vs ResNet 34 layers

       Residual learning을 사용한 결과, degradation 문제가 해결되어 더 깊은 모델이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lain vs ResNet

        18 layers의 경우 큰 성능 차이는 보이지 않지만 ResNet의 경우가 더 빨리 수렴했고, 34 layers의 경우 큰 성능 차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residual learning은 매우 성공적인 결과를 불러왔고, 발표될 당시 ImageNet challenge 및 기타 대부분의 challenge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게 됩니다.

<Implementation>

Pytorch에서 제공하는 CIFAR 10 dataset을 사용하여 구현 및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먼저 모델의 구조는 논문에서 연구자들이 CIFAR 10 dataset에 대해 적용한 구조를 그대로 따랐습니다.

 

① 기본적으로 VGG의 방식을 따라 filter는 모두 3x3크기를 사용합니다. 

 

② Feature map size를 32x32 -> 16x16 -> 8x8 으로 감소시키고, feature map size가 감소할 때마다 channel의 수는 2배로 증가시켜 16->32->64의 순서로 증가합니다.

 

③ 각 feature map size마다 2n 개의 convolution layers( = n개의 residual block)를 적용합니다.

(모든 convolution 연산의 뒤에는 BN layer가 추가되어있습니다.)

 

가장 처음의 3x3 convolution layer와 마지막의 Linear layer까지 최종적으로 총 6n+2개의 layer가 존재하게 됩니다.

 

논문에서는 다양한 n에 대해 실험 결과를 제시하지만, n = 5, 즉 layers가 32개인 경우에 대해서만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 Residual Block

먼저 2개의 convolution layers로 이뤄진 residual block의 구현입니다. 

# Basic residual block consists of pair of convolution layer
class Residual_Block(nn.Module) :
  def __init__(self, in_channel, out_channel, feature_reduce = False) :
    super().__init__()

    self.feature_reduce = feature_reduce

    if feature_reduce :
      stride = 2
    else : 
      stride = 1

    self.Conv = nn.Sequential(
        nn.Conv2d(in_channel, out_channel, kernel_size = 3, stride = stride, padding = 1, bias = False), 
        nn.BatchNorm2d(out_channel),
        nn.ReLU(),
        nn.Conv2d(out_channel, out_channel, kernel_size = 3, padding = 1, bias =  False),
        nn.BatchNorm2d(out_channel)
    )

    if feature_reduce :
      self.shortcut = nn.Sequential(
          # reduce feature map by pooling (No more parameters, option (A))
          nn.MaxPool2d(kernel_size = 2, stride = 2)
      )
    else :
      self.shortcut = nn.Identity()

  def forward(self, x) :
    x_prev = self.shortcut(x)
    
    if self.feature_reduce :
      # zero padding for dimension matching
      concat = torch.zeros_like(x_prev)
      x_prev = torch.concat((x_prev, concat), axis = 1)
    else :
      x_prev = x_prev

    F_x = self.Conv(x)

    return F.relu(F_x + x_prev)

Shortcut을 제외하면 Conv-BN-ReLU-Conv-BN-ReLU 순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이므로, shortcut에 대해서만 조금 더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convolution layer만 짚고 넘어가면, feature map size를 줄이는 경우 stride = 2인 convolution을 통해 처리하기 때문에 feature map size를 줄일 때는 첫번째 layer의 stride가 2가 되도록 구현했습니다. 

 

다시 shortcut으로 돌아가면, CIFAR10 dataset에 대해서는 모두 option (A), identity mapping을 적용하는 논문의 내용을 따랐습니다. (그 외에는 convolution을 이용합니다. 논문 참고)

 

따라서 Feature map size가 바뀌는 block의 shortcut은 MaxPooling을 이용하여 feature map size를 줄인 후, 늘어난 channel은 zero로 채우는 zero padding을 이용합니다.

 

그 외의 경우는 그대로 전달되는 identity mapping을 이용합니다. 

 

ex) input : 32x32x16, output(2번째 conv) : 16x16x32 인 경우, input을 그대로 output에 더해줄 수 없습니다.

따라서 maxpooling을 통해 16x16x16으로 만들어주고, zero padding을 통해 16x16x32로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 Feature Block

Feature map 크기가 동일한 구간(n개의 residual blcok으로 구성)을 하나의 feature block으로 구현했습니다.

# Block consists of n residual blocks
class Feature_Block(nn.Module) :
  def __init__(self, in_channel, out_channel, n, feature_reduce = False) :
    super().__init__()
    self.n = n

    residual_blocks = [Residual_Block(in_channel, out_channel, feature_reduce = feature_reduce)]

    for i in range(0, n-1) :
      residual_blocks.append(Residual_Block(out_channel, out_channel))
    
    self.residual_blocks = nn.ModuleList(residual_blocks)

  def forward(self, x) :
    for i in range(0, self.n) :
      x = self.residual_blocks[i](x)

    return x

ModuleList를 통해 앞서 구현한 Residual_Block을 n개 쌓아줍니다. 

 

- ResNet

최종 ResNet은 다음과 같습니다.

# ResNet
class ResNet(nn.Module) :
  def __init__(self, n) :
    super().__init__()

    self.init_layer = nn.Sequential(
        nn.Conv2d(3, 16, kernel_size = 3, padding = 1, bias = False),
        nn.BatchNorm2d(16),
        nn.ReLU()
    )

    self.Feature_Block1 = Feature_Block(16, 16, n)

    self.Feature_Block2 = Feature_Block(16, 32, n, feature_reduce = True)

    self.Feature_Block3 = Feature_Block(32, 64, n, feature_reduce = True)

    self.FC = nn.Sequential(
        nn.AvgPool2d(kernel_size = 2, stride = 2),
        Flatten(),
        nn.Linear(4*4*64, 10)
    )

  def forward(self, x) :
    x = self.init_layer(x)
    x = self.Feature_Block1(x)
    x = self.Feature_Block2(x)
    x = self.Feature_Block3(x)
    x = self.FC(x)

    return x

우선 3x3 Conv layer를 통해 channel을 16으로 만들어주고, 

 

이후에 feature map size : 32 -> 16 -> 8, channel : 16 -> 8 -> 4의 순서대로 앞서 만든 Feature_Block을 3개 쌓아줍니다.

 

마지막으로 average pooling을 거친 후 linear layer를 통해 최종 출력이 계산됩니다. 

 

- Result

앞서 구현한 ResNet과 residual learning, short cut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조의 plain 모델을 하나 더 구현하여 두 model의 성능을 비교해봤습니다. 

(plain 모델 및 traing 등의 코드는 github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Loss는 training data에 대해, accuracy는 test data에 대해 계산한 결과이며, 

두 model 모두 lr = 5e-3, momentum = 0.9, nesterov 방식으로, 같은 hyperparameters를 사용했습니다. 

 

실험1(상), 실험2(하) / without average pooling

Training을 3번이나 진행하게 되었는데, 그 중 위 2번은 끝에 average pooling을 추가하지 않고 진행한 결과입니다.

 

ResNet을 적용한 모델이 더 빠르게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험 3

두 번이나 training을 돌리고 나서 논문에서는 끝에 average pooling이 추가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해서 추가로 한 번 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15 epochs로는 plain model이 수렴하기에 부족한 것 같아서 이번엔 25 epoch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입니다. 이미 training에 시간을 너무 많이 쓰기도 했고.. ResNet은 빨리 수렴하여 20 epochs만 진행했습니다.

 

마찬가지로 ResNet이 더 빠르게 수렴하고 더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